HR 인사이트

[유연근무 활용 가이드] 유연근무제도 도입 및 운영 방법

2024-11-25

Author | 고혁진

Contents Writer


유연근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로 사업장에서 유연근무 제도를 운영하는 방법을 정확하게 모르기 때문에 인사담당자, 사업주가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곳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연근무제의 개념과 유형, 효과적으로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연근무제란?


유연근무제는 근로자가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근무하지 않고, 근무 시간이나 장소를 개인 상황이나 업무 특성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런 제도는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데요. 근로자는 보다 균형 잡힌 업무와 생활을 영위할 수 있고, 기업은 효율성을 높이고 인재를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유연근무제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영되는지, 제도를 설계하고 정착시키려면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연근무제는 근로 시간 및 장소를 유연하게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다음에서 각 유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유연근무제의 주요 유형과 특징


유연근무제는 몇 가지 유형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각 유형마다 근로자가 선택할 수 있는 방식과 그에 따른 근무 형태가 다릅니다.

다음은 고용노동부에서 제시하는 대표적인 유연근무제 유형과 특징입니다.



1. 시차출퇴근제
  • 특징: 근로자가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서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여 할당된 근로시간 동안 근무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의 법정 근로시간이 8시간일 경우, 7시에 출근하는 근로자는 5시에 퇴근하게 됩니다.
  • 장점: 업무 외의 개인적인 일정과 병행하기 용이하며, 출퇴근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므로 출근 시간 혼잡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유의사항: 시차출퇴근제를 도입할 경우 출퇴근 시간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하면 업무 일정 관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수 근로 시간대(코어 타임)를 정해두어 일정 수준의 협업이 가능하도록 운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선택근무제
  • 특징: 근로자가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무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하루 6시간씩 근무하고 싶은 날은 7시간, 다른 날은 9시간 근무하는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장점: 업무의 집중도나 일정을 개인별로 유연하게 맞출 수 있어, 효율적인 시간 활용이 가능합니다. 특히 자율성이 강조되는 직무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 유의사항: 선택근무제에서는 근무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근태관리 솔루션을 통해 매일 근무시간, 출퇴근시간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연장근무 제한을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재택근무 및 원격근무
  • 특징: 근로자가 사무실이 아닌 집이나 외부 원격지에서 근무하는 제도입니다. 정보통신기기를 활용해 업무를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등의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 장점: 이동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근무할 수 있습니다. 특정 상황에서는 재택근무와 사무실 근무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 유의사항: 재택근무자 또는 원격근무자는 근무 장소가 자택이나 외부 원격지로 지정되므로, 출퇴근 확인과 근태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근무시간 중 근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보안에 대한 규정을 명확히 하여 회사의 데이터와 시스템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적절한 보안 교육 또는 근로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근로시간 단축제
  • 특징: 임신, 육아, 가족 돌봄, 건강, 학업 등 특정 사유로 근로 시간이 조정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하루 8시간 근무에서 6시간 근무로 줄이되, 임금은 근무 시간에 맞게 조정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일과 가정의 양립을 원하는 근로자에게 유용하며, 기업은 이러한 유연근무제 제공을 통해 근로자의 근로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유의사항: 근로시간 단축제는 근로자의 사유에 따라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하며, 임금 조정과 관련된 내용을 명확하게 안내해야 합니다.

💡 근로시간 연장 한도 확인
근로자의 1주간의 근로시간은 40시간을 넘길 수 없는데요. 당사자 간에 합의하에 12시간을 한도로 근로시간 연장이 가능합니다.
- 근로기준법 제 50조 ➀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 근로기준법 제 53조 ➀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유연근무 시행 방법 결정하기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후에도 사업장의 상황에 따라 전사적으로 운영할지, 부서별로 시행할지 등 구체적인 운영 방침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시행 방법 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적용 형태와 추진 방법입니다.


유연근무제도 적용 3가지 방법


적용 형태 추진 방법
전사적 적용 전 직원과 모든 부서가 유연근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연차별 추진 계획과 예산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합니다.
파일럿 적용 일부 부서나 특정 조직을 대상으로 우선 도입 후, 성과를 평가해 필요 시 적용 대상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파일럿 운영을 통해 예상되는 문제를 미리 검토하고 보완할 수 있습니다.
개인별 적용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근로자에게 개별적으로 유연근무를 제공하고, 이후 성과에 따라 다른 직원들에게도 확대할 수 있습니다. 개별 사례가 성공적으로 운영된 후에는 우수 사례를 조직 내에 공유해 확산시키는 방식입니다.


유연근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신청 절차와 승인 기준을 명확히 하고 이를 직원들에게 충분히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신청한 근로자의 업무 특성과 숙련도 등을 고려해 유연근무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조정할 수 있는 제도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 관련 아티클 함께 읽어보기 : 유연근무제, 근로시간 관리로 회사와 팀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4가지 방법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사업장에서는 근무 시간과 출퇴근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시프티는 기본적인 근태관리부터, 유연근무제도를 포함한 다양한 근무제도, 근무 형태에 맞춰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인력관리 솔루션입니다.

복잡한 근무 제도 세팅, 직원 관리 등에 대한 인사 담당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직원들은 효율적으로 근무 시간을 조율할 수 있도록 시프티를 통해 유연근무제를 운영해보세요.


유연근무제도 도입부터 운영까지, 시프티로 해결하기



추천 블로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