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인사이트

예비·초기 창업 기업, 스타트업을 위한 정부 지원사업 총정리

2025-09-09

Author | 유예진

Contents Writer

창업을 준비하거나 사업 초기에 있는 기업에게 정부 지원사업은 성장의 중요한 발판이 됩니다. 하지만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어 어떤 사업에 지원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5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중심으로 주요 지원사업들을 정리했습니다. 기술개발(R&D), 융자, 사업화 지원 등 유형별로 지원 대상, 내용, 예산 규모 등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참고 사이트 : K-Startup 창업지원포털 2025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기술 개발(R&D) 지원 사업

기술력 향상과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하는 창업기업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정부출연금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받아 기술의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1.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창업기업의 기술 역량 강화와 제품 개발을 돕는 대표적인 R&D 사업입니다. 업력 7년 이하, 매출액 20억 원 미만의 초기 창업기업(신산업 분야는 업력 10년 이내)이 대상이며, 두 가지 세부 트랙으로 나뉩니다.

  • 디딤돌 : 초기 창업기업의 아이디어 및 기술 검증, 시제품 개발을 지원합니다.
    • 지원 내용 : 최대 1.5년, 2억 원
    • 2025년 규모 : 약 231억 원 예산
    • 2025년 모집 : 1차(4-5월), 2차(6-7월)
  • TIPS 연계 : 민간 투자(TIPS 운영사)와 정부 R&D 자금을 연계하여 고속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투자부터 보육, 글로벌 진출까지 패키지로 제공합니다.
    • 지원 내용
      • 일반형 : 최대 2년, 5억 원
      • 글로벌형 : 최대 3년, 12억 원
      • 특화형 : 최대 3년, 15억 원
    • 2025년 규모 : 4,777억 원 규모(예산 증액)
    • 2025년 모집 일정 : 수시 모집, 단 세부 사업별 상이

💡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란?
민간 투자사가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투자하면, 정부가 R&D 자금과 사업화, 글로벌 진출 지원을 매칭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민간의 전문성을 활용해 혁신적인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는 것이 특징입니다. (참고 사이트: TIPS 공식 사이트)

융자 지원 사업

사업 운영 및 시설 확장을 위한 자금 확보가 필요한 기업을 위한 융자 지원 제도입니다. 정책자금 기준금리로 자금을 빌릴 수 있어 일반 대출보다 유리합니다.

1. 재창업자금

실패 경험이 있는 재창업자 및 재창업 기업의 재도전을 돕기 위한 정책자금입니다.

  • 지원 대상 : 예비 재창업자 및 업력 7년 미만 재창업 기업
  • 지원 내용
    • 시설자금 : 최대 60억 원 (10년 이내)
    • 운전자금 : 연간 5억 원 (6년 이내)
    • 금리 : 정책자금 기준금리 (변동)
  • 2025년 규모 : 약 2,000억 원 예산
  • 2025년 모집 일정 : 수시 접수, 예산 소진 시 종료

💡 참고 사이트 : 재창업자금(2025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계획 공고)

2. 창업기반지원자금

창업기업의 시설 및 운영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 대표적인 융자 제도입니다.

  • 지원 대상 : 예비창업자 및 업력 7년 미만 중소기업
  • 지원 내용 :
    • 시설자금 : 최대 60억 원 (10년 이내)
    • 운전자금 : 연간 5억 원 (5년 이내)
    • 금리 : 정책자금 기준금리 (변동)
  • 2025년 규모 : 약 1조 3천억 원 예산
  • 2025년 모집 일정 : 수시 접수, 예산 소진 시 종료

💡 참고 사이트 : 혁신창업사업화자금-창업기반지원자금(일반)(2025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계획 공고)

사업화 지원 사업

아이디어 구체화부터 시장 진입, 스케일업까지 창업의 단계별 성장을 돕는 종합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1. 예비창업패키지

기술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 창업자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사업 계획을 완성하도록 지원합니다.

  • 지원 대상 : 사업자 등록 이력이 없는 예비 창업자
  • 지원 내용 :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 창업 교육, 시제품 제작 등
  • 2025년 규모 : 780명 선정
  • 2025년 모집 일정 : 2월 24일 ~ 3월 12일

2. 초기창업패키지

창업 3년 이내 기업의 시장 진입과 안착을 돕는 프로그램입니다.

  • 지원 대상 : 창업 후 3년 이내 기업
  • 지원 내용 :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 시장 검증, 투자 연계 등
  • 2025년 규모 : 430개사 선정
  • 2025년 모집 일정 : 2월 24일 ~ 3월 11일

3. 창업도약패키지

창업 3~7년 사이, 도약기 기업의 매출 확대와 스케일업을 지원합니다.

  • 지원 대상 : 창업 후 3~7년 이내 기업
  • 지원 내용 : 최대 3억 원의 사업화 자금, 대기업 협업, 글로벌 진출 등
  • 2025년 규모 : 553개사 선정
  • 2025년 모집 일정 : 2월 20일 ~ 3월 13일

4. 청년창업사관학교

창업 아이디어를 실제 사업으로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도와주는, 입주형 종합 창업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 지원대상 : 만 39세 이하, 창업 3년 이내 청년 창업가
  • 지원내용 :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 창업 공간, 멘토링, 투자 연계 등
  • 2025년 규모 : 850명 선정
  • 2025년 모집 일정 : 1월 23일 ~ 2월 12일

5. 그외 다양한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 재도전성공패키지 : 실패 경험이 있는 예비·재창업 기업의 재도전을 돕는 패키지입니다.
    • 지원 내용 :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 교육, 멘토링, 정책자금 연계 등
    • 2025년 모집 일정 : 2월 12일 ~ 3월 6일
  • 신사업창업사관학교 : 유통·서비스 분야 예비 소상공인을 위한 창업 실습 프로그램입니다.
    • 지원 내용 : 최대 4천만 원의 사업화 자금, 실습 점포, 마케팅, 멘토링 등
    • 2025년 모집 일정 : 2월 17일 ~ 2월 28일
  •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 AI, 반도체, 바이오 등 10대 신산업 분야의 딥테크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합니다.
    • 지원 내용 : 최대 6억 원의 사업화 자금과 함께 기술 개발, 투자 연계 등
    • 2025년 모집 일정 : 1월 23일 ~ 2월 20일
  • 창업중심대학 : 대학을 거점으로 창업팀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지원 내용 : 최대 2억 원의 사업화 자금, 기술 검증,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합니다.
    • 2025년 모집 일정 : 3월 21일 ~ 4월 2일

※ 지원 대상, 조건, 예산, 모집 일정은 매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위에 정리된 내용은 2025년 공고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나, 지원 신청 전에는 반드시 K-Startup(k-startup.go.kr) 홈페이지에서 해당 연도의 최신 공고문을 직접 확인하고 신청해야 합니다.

💡 참고 사이트: K-Startup 창업지원포털 2025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이처럼 예비창업자부터 창업 초기 스타트업까지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창업지원사업이 매년 운영되고 있습니다. 기술개발, 자금 조달, 시장 진입, 글로벌 진출 등 창업 전 단계에 걸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기업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잘 찾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년 업데이트 되는 지원사업들의 지원 유형과 대상 요건을 미리 파악해두면 신청 기간에 맞춰 사업 신청 시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다수의 정부 지원사업에서는 수령한 자금을 시프티와 같은 기업 운영 시스템 구축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담없이 자동화 HR 솔루션 시프티를 도입하고, 인력 운영 효율을 전략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금으로 시프티 도입하기
통합 인력관리 솔루션, 시프티

더 알아보기

추천 블로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