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인사이트

정확한 근태관리가 중요한 이유와 근로시간 관리에서 자주 헷갈리는 사례들

2025-01-13

Author | 고혁진

Contents Writer


직장 생활에서 ‘근태관리’는 단순히 출퇴근 시간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기업 운영의 기본이자 법적 의무를 준수하기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주 52시간제 도입 이후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근무제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근태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추세입니다.



근태관리란?


근태관리란,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휴게시간, 연장근로, 휴가 사용 내역 등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말합니다. 이는 기업이 근로시간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초과근로 수당과 같은 임금 산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근로시간 관리에 헷갈릴 수 있는 주요 사례들



1. 회식, 교육, 워크샵은 근로시간에 해당될까?

근로시간의 판단 기준은 사용자의 지휘·감독 여부입니다.

  • 회식 : 일반적으로 회식은 업무 외적인 활동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회식은 사용자의 지휘·감독 하에서 이루어진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교육/워크샵 : 회사의 지시 또는 승인 하에 진행되는 의무적인 교육 및 워크샵은 근로시간에 해당됩니다. 특히 업무와 직접 관련된 법정 의무 교육(예: 산업안전보건 교육)은 근로시간으로 포함됩니다.

💡 관련 법령
산업안전보건법 제31조(안전·보건교육): 사업주는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에 대하여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바에 따라 정기적으로 안전·보건에 관한 교육을 하여야 한다.



2. 잠시 커피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는 시간은?

커피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는 시간은 업무 중 짧은 휴식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 근로시간으로 간주되는 경우 : 5~10분 정도의 짧은 휴식은 업무 집중도를 높이고, 업무의 효율성과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근로시간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로자와 사업주 간의 합리적인 이해관계가 필요하며 과도한 개인 용무(장시간의 개인 통화, 게임, 쇼핑 등)는 근로시간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3. 8시간 혹은 4시간 근무 시, 기본 휴게시간을 반드시 가져야 할까?


현행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4시간 근무 시 30분, 8시간 근무 시 1시간의 휴게시간을 필수로 가져야 합니다.

  • 휴게시간의 본질 : 근로시간 중간에 반드시 부여되어야 하며, 근로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어야 합니다.
  • 퇴근과 대체 불가 : 휴게시간은 근로시간 이후에 몰아서 제공하거나, 근무 종료 후에 대체할 수 없습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2023년 9월 25일 열린 제4차 인구비상대책회의 겸 ‘일·가정 양립 우수기업 성과공유회’에서는 기업과 근로자가 현장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논의하며 제도 개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특히 단시간 근로나 단축근무, 반차로 인해 4시간만 근무하는 경우, 근로자가 원하면 별도의 휴게시간 없이 바로 퇴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최근 검토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는 법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휴게시간은 근로시간 중에 제공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합니다.

💡 관련 법령
근로기준법 제 54조(휴게)
①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한다.
② 휴게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4. 주 52시간제에서 연차 사용과 초과 근무의 관계는?


근로자가 주중에 연차를 사용하고 토요일이나 일요일에 추가 근무를 한 경우, 토요일과 일요일의 법적 지위(휴무일 또는 휴일)에 따라 근로시간 및 수당 지급 방식이 달라집니다.


1) 토요일 근무의 경우

토요일이 기업 내부적으로 휴일인지, 휴무일인지 정의한 기준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휴일 : 회사 규정에서 토요일을 휴일로 지정했다면, 토요일 근무는 일요일 근무와 동일하게 휴일 근무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기본 시급의 50%가 가산된 임금(1.5배)이 지급됩니다.
  • 휴무일인 경우 : 주 40시간 초과 여부를 기준으로 초과근로 여부를 판단합니다.
    • 주 40시간 초과 시 : 초과된 근로시간에 대해 연장근로로 인정되어 1.5배의 수당 지급이 필요합니다.
    • 주 40시간 이내 : 연장근로로 인정되지 않으며, 1배의 통상 시급만 지급됩니다.


2) 일요일 근무의 경우

일요일은 법적으로 휴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근무 시간은 휴일 근무로 인정되며, 기본 시급의 50%가 가산된 임금(1.5배)을 지급해야 합니다.

💡 관련 아티클 함께 읽어보기 : 휴일과 휴무일의 차이 알아보기




정확한 근태관리는 기업과 직원 모두를 위한 기본입니다. 근로시간을 명확히 관리하고 기록하는 것은 단순히 법적 의무를 준수하는 것을 넘어, 직원들의 신뢰와 기업의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요소입니다.

회식, 교육, 워크샵 등 일상에서 헷갈리기 쉬운 근로시간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반영한 체계적인 근태관리는 기업이 법적 리스크를 방지하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정확한 근태관리로 주 52시간 준수, 시프티



추천 블로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