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어느 조직이나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각자 필요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그래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기업 운영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에 많은 기업에서는 다양한 목표 설정 기법을 활용하는데요.
그중에서도 오늘은 SMART 목표 설정 기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팁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SMART는 조직에서 팀원들의 명확한 목표 설정과 성과 관리를 위해 만들어진 목표 설정 기법으로, 구체적(Specific), 측정 가능(Measurable), 달성 가능한(Achievable), 관련성(Relevant), 기한 설정(Time-bound)의 영문 약자로 다섯 가지 요소를 갖춘 목표 설정 기법을 말합니다.
SMART는 1981년 미국 경영 컨설턴트가 제안한 기법으로 HR, 경영전략, 목표설정, 성과관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HRD 부서에서는 예를 들어 직원 역량 강화 교육 수립 계획을 위해 “직원 역량 강화”라는 목표 설정 대신, “6개월 내 각 부서 팀장들에게 리더십 교육 2회 진행, 이후 만족도 조사 결과 작년 대비 15% 상승 달성”으로 SMART의 다섯 가지 요소를 반영해 구체적으로 목표를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SMART 목표 설정 기법은 HRD 팀뿐만 아니라 HR 전반, 마케팅, 홍보, 프로젝트, 영업 등 다양한 부서에서도 명확한 목표 설정과 성과 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습니다.
조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 설정과 성과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SMART 목표는 물론 MBO, OKR, KPI를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 네 가지 목표 설정 기법은 비슷해 보이지만, 적용 방식에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에 최근에 많은 기업에서는 SMART 목표를 메인으로 다른 기법들을 조합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구분 | SMART | MBO | OKR | KPI |
---|---|---|---|---|
개념 | 구체적인 목표 설정 기준 | 목표에 의한 관리 | 목표와 핵심 결과(Key Results) 설정 | 핵심 성과 지표 |
목적 |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목표 설정 | 조직 목표와 개인 목표를 일치시켜 목표 달성 | 도전적인 목표 설정과 유연한 성과 관리로 조직과 개인 성장에 중점 | 프로젝트 목표 달성 목적으로 추후 보고용 지표 성향이 강함 |
적용 방식 | 목표를 설정할 때 5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목표를 구체화 | 조직의 목표와 개인 목표로 연결하여 목표 달성을 촉진하고, 평가 및 보상 시스템에 반영 | 핵심 결과를 설정해 조직이 지향하는 방향성과 목표 달성 | 조직의 목표 달성 여부를 숫자로 측정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 |
적용범위 | 모든 목표 설정에 적용 가능 | 전통적인 기업 문화에서 팀리더와 팀원 목표 공유 | 스타트업, IT 기업에 효과적 | 프로젝트시 목표 달성 여부 평가 |
결론적으로, SMART 목표는 모든 조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목표 설정 기준을 제공하며, MBO, OKR, KPI는 조직의 성과 평가 방식에 따라 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기법은 조직의 특성과 필요에 맞게 조합하여 사용하면 목표 달성과 성과 관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아티클 함께 확인하기
- HR 인사담당자가 주목하고 있는 성과관리 방법 ‘OKR’ 이란?
- HR 인사담당자가 주목하는 목표관리 방법, MBO란 무엇일까?
- HR 인사담당자의 업무 직원 인사평가 방법 업적평가와 역량평가
인사 담당자는 조직의 목표와 성과 관리를 위해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HR 담당자 또는 조직의 리더가 막연하게 설정한다면 목표 실행력은 물론 성과 평가도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SMART 목표 설정 기법을 활용하면 보다 체계적인 목표 수립과 성과 관리가 가능합니다. 다음은 HR 담당자가 SMART 원칙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5단계 과정입니다.
목표를 설정할 때는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명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직원 역량 강화 교육을 통해 “직원 만족도를 높인다”보다는 “6개월 내 관련 교육 2차례 실시, 작년 대비 직원 만족도 15% 향상”처럼 대상, 기간, 방법 등을 포함시켜야 합니다. 이렇게 구체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하면 성과 관리도 용이해집니다.
목표 설정 시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돼야 합니다. “직원 만족도를 높인다”라는 모호한 목표보다는 “6개월 내” 그리고 “만족도 15% 향상”같은 수치를 포함시켜 성과 관리가 용이하도록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목표는 도전해 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현실 가능한 수준이어야 합니다. 지나치게 높은 목표 설정은 자칫하면 구성원들의 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쉬운 목표는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설정한 목표가 조직의 비전이나 전략과 관련성이 있어야 합니다. 리더십 교육을 통해 “팀장들의 역량을 강화해 교육 만족도를 15% 이상 향상시키겠다”처럼 조직 목표와 연계성을 동일한 방향으로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체적인 기한을 설정하여 목표 달성이 지연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리더십 교육을 참여하도록 독려하겠습니다” 보다는 “관련 교육을 연간 3개씩 참여”처럼 구체적인 기한을 설정해 효과적인 성과 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SMART 기법은 목표 설정뿐 아니라 실행력을 높여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HR 담당자가 SMART 목표 설정을 조직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3가지 팁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목표 설정 과정에 조직의 리더와 팀원이 함께 참여하면, 목표에 대한 이해도와 몰입도가 높아지고, 목표 달성을 위한 개인의 역할과 책임감도 강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팀장과 팀원이 협력하여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기적인 목표만 설정하면 실행 과정에서 방향을 잃거나, 목표가 멀게 느껴져 동기부여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MART 목표를 주간, 월별, 분기별 단위로 세분화하고 성과를 확인하며 최종 목표에 다가가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 과정에서 노션, 슬랙, 팀즈 등의 협업 도구를 활용해 업무 상황과 피드백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메일 자동화, 근무일정 관리, 근태관리, 전자결재 등을 통해 반복적인 업무를 줄이고, 팀원들이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근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솔루션을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팁입니다.
목표 실행 과정에서는 예상치 못한 변수나 장애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 점검을 통해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단계가 필수적입니다. 만약 목표가 비현실적이면 팀원들의 실행력이 저하될 수 있어, 상황에 맞게 목표를 조정하는 유연성이 중요한데요. 이를 위해 성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필요시 목표를 최적화하여 실행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관련 아티클 함께 확인하기 : 팀 리더를 위한 스마트한 연간 목표 달성 핵심 전략 5가지 알아보기
참고 자료 : What is OKR? A goal-setting framework for thinking big, What Are SMART Goals? Definition, Best Practices, And How To Make Your Own
SMART 목표 설정 기법은 단순히 목표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가고자 하는 방향성과 전략을 명확히 하고, 이를 통해 성과를 극대화하여 조직과 개인의 성장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SMART 기법뿐만 아니라, 조직의 문화와 환경에 적합한 목표 설정 방식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보다 효율적인 성과 관리와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스마트한 통합 인력관리 솔루션, 시프티